진료시간안내

일요일/공휴일 : 휴진

  • 평일 08:00~17:30
  • 토요일 08:00~12:30
  • 점심시간 12:30~13:40
  • 정상진료 09:00~17:30

칼럼/강좌


건강칼럼

홈으로_칼럼/강좌_건강칼럼

Tel.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

0 4 2 - 6 3 7 - 3 4 3 5

제목

과음은 '간'에 어떤 영향을 주나?

술이란 에탄올(알코올)을 1% 이상 함유한 음료를 말한다, 알코올 1g은 체내에서 약 7kcal의 열량을 가지며 체내에서 빈 열량으로 작용하고 장기적으로 섭취하면 영양실조를 초래한다. 음주는 기분전환이나 사교활동에 도움이 되는 장점도 있으나 횟수나 양을 과하게 섭취하게 된다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중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

간

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다양한 물질을 흡수, 대사,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. 과도한 알코올은 간세포에 지방을 축적시킬 수 있고 알코올의 대사산물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게 된다. 술을 자주 마시게 되면 손상된 간세포가 재생될 시간이 없고 체내의 영양 부족 상태를 초래하여 간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.

술은 원료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종류나 마시는 방법에 따라서 간 손상 정도가 다른 것은 아니며 섭취한 알코올의 양과 음주 횟수가 중요하다. 또한 술로 인한 간 질환 발생은 성별이나 개인에 따른 차이가 크며 유전적 요인이나 영양 상태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. 특히 여성이나 영양상태가 나쁘거나 바이러스 간염 환자에서는 소량의 알코올 섭취로도 심한 간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. 장기간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 질환에는 알코올성 지방간, 알코올성 간염, 알코올성 간경변증, 더 진행해서 간암도 초래될 수 있다.

알코올성 지방간
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.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나 간혹 피로감이나 상복부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대부분은 병·의원에서 간 기능 이상이나 초음파 등을 통해 우연히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. 알코올성 지방간은 보통 금주하면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체중조절, 식이요법, 약물치료 등을 해볼 수 있다.

알코올성 간염
장기간 음주를 지속하게 되면 일부 사람들에게 간세포의 염증과 파괴로 간 수치(ast, alt, r-gtp)가 상승하는 알코올성 간염이 나타날 수 있다. 알코올서 간염은 지방만 축적되는 알코올성 지방간과는 달리 간세포의 파괴와 염증 반응을 동반하게 된다. 보통 무증상부터 발열, 황달, 복통, 심한 간 기능 장애를 초래하며, 술을 끊으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지속적으로 음주 시에는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. 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되어 사망할 수도 있다. 알코올성 간염이 심한 경우 간혹 알코올성 췌장염을 동반하기도 하며 입원 치료, 스테로이드 치료, 심한 경우 간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.

알코올성 간 경변
음주를 지속하는 사람에게서 약 20-30% 정도 사람이 알코올성 간염이 유발되고 그 이후에도 음주를 지속 시 그 중 약 10%에서 간경변증이 초래됩니다. 보통 매일 80g 이상(소주 1~1.5병 정도)의 알코올을 약 10~15년 이상 마시는 경우 간에 염증과 재생이 반복되다가 간이 딱딱하게 굳고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되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한다.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복수, 위 식도의 정맥류 출혈, 간성 혼수, 복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. 간경변증이 진행된 이후에는 금주해도 간 조직이 정상으로 회복되지는 않는다. 그러나 간 질환 합병증이나 사망률은 현저히 감소하므로 금주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알코올성 간 질환에 대한 예방법 및 대책
알코올성 간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알코올 의존성이나 중독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정신과 의사와 소화기내과 의사의 협진이 필요할 수 있다. 특히 알코올성 간 질환에서는 금주가 가장 중요하며, 그 외에도 간염이나 간 경화 등의 만성 질환이 유발된 경우에는 소화기내과 의사의 정기적 진찰과 상담이 필요하다. 또한, 알코올은 다른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약물 복용 시 주의를 요하고, 근거 없는 생약이나 민간요법 등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. 평소에는 금주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체력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권유한다.

글 = 하이닥 의학기자 서종필 원장 (내과 전문의)

출처: 건강이 궁금할 땐, 하이닥 (www.hidoc.co.kr)